본문 바로가기

정보

제사상 차리는 법 알아보기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제사상 차리는 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명절이나 기일에 여자분들이 참


고생을 하시는데요. 


요즘은 제사는 많이 간소하게하고


안하는 집도 있는데 그래도 해야한다는


분들이 계시는 집안은 꼭 하시더라구요


미리 숙지하고 계셨다가 음식 나르면서


제 위치에 잘 가져다 놓으면 더욱 이쁨을


받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





제사상은 보통 1열~5열까지 있습니다.


병풍쪽에 가장 가까운 1열은 신위와 함께


밥, 국, 술잔을 두는 열입니다.


밥을 오른편에 두고 국을 왼편에 놓으셔야


합니다. 평소 밥을 왼쪽편에 두고 국을


오른편에 놓게 되는 것과는 반대입니다.


어동육서, 동두서미, 좌포우혜 등과 같은


말을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어동육서는 2열과 관련된 것으로 생선은


동쪽, 육류는 서쪽에 두는 것을 말합니다.


동두서미는 생선의 머리는 동쪽을 향하게


놓고 꼬리는 서쪽을 향하도록 하라는 


것입니다.





3열은 탕종류가 올라갑니다. 국하고


탕은 다른 것입니다. 각자 집안에서


끓이는 국이 다를 수 있습니다.


4열은 나물과 마른반찬이 올라갑니다.


좌포우혜라고 해서 좌측 끝에는 포가 


올라가고 우측 끝에는 식혜가 올라가게 


됩니다.


5열은 과일과 한과같은 음식이 배치되는


곳으로 흔히 말하는 홍동백서 입니다.


붉은 음식은 동쪽에 배치를 하고 흰 음식은


서쪽에 배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 조율이시에서 대추는 조, 밤은 율, 


배는 이, 곶감은 시를 의미하니 순서에 맞게


놓으시면 됩니다.



제사상을 차리는 법에는 완벽한 정답은 


없고 그 집안의 제사상에 맞게 준비를


하면 되는 것입니다.


제사상을 차릴때에 몇가지 주의사항이


있습니다.


음식은 홀수로 놔야 합니다.


하지만 10은 3과 7이 합쳐진 것이라 올릴수


있다고 합니다.


마늘이나 고춧가루, 복숭아는 혼을 쫓는


음식이라서 제사상에는 올리지 않습니다.


비늘이 있는 생선을 올려야 합니다.


비늘없는 생선은 부정하다고 여겼습니다.


생선이름이 치 로 끝나는 것은 올리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치로 끝나는 멸치나


꽁치는 예전부터 싼 생선으로 여겼다고


합니다. 고급생선으로 분류되는 것은


어, 기로 끝나는 생선입니다.





이상 제사상 차리는 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요즘에는 치킨이나 피자도 제사상에


올린다고 하는데요. 생전에 즐겨드셨던


음식을 올리는 것도 좋겠죠.


무엇보다 조상님을 공경하고 감사하는


마음가짐이 있다면 더욱 좋을 것 같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