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의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에게나
주민번호가 있는데요.
주민등록번호는 총 13자리 숫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주민등록번호의 앞자리는 알고 계시듯이
생년월일을 뜻하는데요.
뒷자리는 어떤 것을 의미하고 있을까요?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첫 번째 숫자는
성별의 의미도 있지만 100년 단위 년생에
따라서 숫자가 다르기도 합니다.
남자 1900 ~ 1999 년생 = 1
여자 1900 ~ 1999 년생 = 2
남자 2000 ~ 2099 년생 = 3
여자 2000 ~ 2099 년생 = 4
(외국인은 5~8)
남자 1800 ~ 1899 년생 = 9
여자 1800 ~ 1899 년생 = 0
이렇게 되어 있습니다. 외국인의 경우는
년생과 상관없이 5~8 이라고 합니다.
성별 번호 뒤 두 자리는 출생지역의 고유
번호입니다.
서울특별시 (00 ~ 08)
부산광역시 (09 ~ 12)
서울특별시 (00~ 08)
부산광역시 (09 ~12)
인천광역시 (13~ 15)
경기도 (16 ~25)
강원도 (26~ 34)
충청북도 (35 ~ 39)
대전광역시(40)
충청남도 (41 ~ 47)
전라북도 (48 ~ 54)
세종특별자치시 (44 or 49)
전라남도 (55 ~ 66)
광주광역시 (55 or 56)
대구광역시 (67 ~12 or 76)
경상북도 (70 ~ 75 or 77 ~ 81)
경상남도 (82 ~84 or 86 ~ 92)
울산광역시 (85)
제주특별자치도 (93 ~ 95)
이렇게 출생 지역에 따라 위의 번호가
부여됩니다.
출생지역 번호의 다음 두 자리는 출생
신고를 한 동사무소의 고유번호이며
6번째 번호는 해당 지역에서 있었던 출생
신고의 당일 접수 순번입니다.
마지막 7번째 맨 뒷 번호는 변조를
방지하기 위한 검증번호 입니다.
저는 그냥 임의적으로 만들어지는 거라고
생각을 했었는데 의외로 체계적이라서
놀랐습니다.
저도 저희 어머니랑 주민번호 뒷자리가
비슷한데요
같은 지역에서 태어나고 같은 주민센터에
등록이 된 경우에는 뒷자리가 비슷한
경우가 생기게 되는 것 같습니다.
이상 주민번호 뒷자리 의미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궁금증이 풀리셨나요?
좋은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고죄 성립요건 및 무고죄 형량 알아보기 (0) | 2018.06.24 |
---|---|
타이레놀 복용량 알아보기 (0) | 2018.06.23 |
알보칠 사용법 알아보기 (0) | 2018.06.23 |
제사상 차리는 법 알아보기 (0) | 2018.06.22 |
촛농 지우는 법 알아보기 (0) | 2018.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