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축의금 봉투 쓰는법 알아보기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축의금 봉투 쓰는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요즘 날씨도 좋고 여기저기 결혼 소식이


많이 들려오고 있는데요.


축의금 봉투에는 뭐라고 써야 하는지,


얼마를 내야 하는지 참 헷갈립니다.


요즘은 격식을 많이 차리지 않는다고


하지만 예의를 갖춰서 나쁠 것은 없겠죠.



대표적인 것들이 위의 5가지 문구입니다.


축결혼, 축화혼, 축성전, 축성혼, 하의 입니다.



요즘은 결혼식장에 가면 축의금 봉투가


비치되어 있는 곳이 많고 봉투자체에


글자가 새겨져서 나오는게 많아서 굳이


직접 쓰지 않아도 되지만 혹시 준비가


안되서 급하게 봉투를 사서 직접 쓰셔야


한다면 축결혼(祝結婚)이라고 쓰시는


것이 가장 무난 할 것입니다.


한자로 축하문구를 쓰시는 것이 부담스러우시면


한글로 축 결혼, 결혼을 축하합니다, 


행복하세요 등 덕담을 쓰는 경우도 많습니다.


뒷쪽에는 본인의 이름을 적어야 하는데


이름을 적는 위치는 왼쪽 하단에 


적으면 됩니다.




만약 어떤 단체에 소속 되어있다면 


단체의 이름은 내 이름 오른쪽 옆으로


세워서 적어 주시면 됩니다.


동창이면 동창 누구라고 적어주시면


되겠죠.




그 다음은 축의금을 얼마를 내야하는지가


고민인데요.


내가 받았다면 그만큼만 돌려주면 되는


것이지만 친구들 중에서 처음 결혼을


하거나 처음 결혼식장에 가게 되어서


먼저 해야한다면 축의금은 3, 5, 7만원으로


홀수로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홀수들은 길한 숫자라고 여겨지기 때문인데요


10만원은 3, 7 홀수가 합쳐진 것으로


보기때문에 괜찮습니다.


축의금은 딱 정해져 있는것이 아니기 때문에


나와 얼마나 친한 사이인지, 관계가 어떤지에


따라서 정하시면 될 것 같고 너무 부담갖지


마시고 축의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결혼식장이 너무 정신없고 바쁘다보니 가끔은


축의금을 냈는데도 실종이 되는 경우가 있으니


신랑 신부에게 맞게 내는건지 꼭 확인을 하고


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이상 축의금 봉투는 어떻게 쓰는지 축의금은


얼마를 내야 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사회초년생분들이나 젊은 분들이 대부분


이 글을 읽으셨을 것 같은데요.


앞으로 경조사도 많아지실텐데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고, 결혼식 잘 다녀오시길


바랍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