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빨래 쉰내 제거 방법 알아봐요!!

반응형

안녕하세요. 식사는 하셨나요?


오늘은 빨래 쉰내를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요즘 날씨가 무척이나 덥고 습도도


높아서 짜증이 많이 나는 날씨인데요.


특히 이런 날씨에는 빨래를 해도 냄새가


나게 되는 것 같습니다.


습한 날씨와 세균, 곰팡이 등으로 인해


냄새가 나게 되는데요. 섬유유연제를


넣어 세탁을 해도 빨지 않았을 때보다


냄새가 더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습기와 빨래에 남아있는 세제 찌꺼기가


만나서 오염되어 냄새가 날 수 있으니


세제 잔여물이 남지 않도록 여러번 헹궈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세탁조에 세균이나 곰팡이, 물 이끼 등이


있어서 냄새가 날 수 있는데요.


세탁조 청소를 하지 않았다면 세탁조를


청소하고 빨래를 해주면 될 것 같습니다.



세탁조 청소를 할 수 있는 세제도 시중에


판매되고 있으니 쉽게 할 수 있으실 것입니다.


세탁을 할때 섬유 유연제를 사용하지 않고


식초를 2~5스푼 정도 넣어 주는 것도


도움이 되는데요.


식초가 살균 작용을 하고 옷 속에 남은


세제를 없애주며 섬유 유연제 역할을


해줍니다.


저도 빨래를 할때 식초를 항상 사용하는데요.


식초 냄새가 나지는 않을까 걱정하는 


분들은 전혀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여름에는 세균이 번식하기 좋은 환경이기


때문에 빨래를 자주 해주시는 것이 좋고


만약 빨래를 며칠에 한 번씩 한다면 자주


삶아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저도 특히 수건에서 냄새가 나는 경우에


베이킹소다를 넣고 빨래를 삶아주는데요.


빨래를 삶으면 확실히 냄새가 나지 않습니다.


빨래를 하기 전에 빨래통에 한 번에 


모아놨다가 빨래를 한 번에 하는 분들도


계실텐데요. 수건이나 젖은 빨래감은 같이


보관 하지 마시고 걸쳐서 빨래하기 전까지


말려서 같이 빨래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젖은 빨래들이 빨래통에 있으면 냄새가


더 심해지고 곰팡이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저는 빨래를 삶을때 베이킹소다를 넣는다고


말씀 드렸는데요. 빨래를 삶지 않을 경우에는


빨래를 할때 세탁조에 세제와 함께 베이킹


소다도 같이 사용을 합니다.


베이킹 소다를 사용하면 세정, 탈취 효과가


있으니 사용 해보시기 바랍니다.


세탁조도 빨래를 한 후 문을 계속 닫아


놓으면 냄새가 날 수 있으니 문을 활짝


열어서 말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 빨래를 널을때 길고 짧은 옷들을 교차해서


널면 빨래 사이에 공간이 생겨 통풍이


잘 되기 때문에 더 잘 마르게 됩니다.




이상 빨래 쉰내 제거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냄새 제거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여름에는 더 신경써서 관리하세요.


좋은 하루 보내세요~!

반응형